EC2 23

AWS 방화벽 포트 설정해도 접속 안될 때

AWS 방화벽 포트 설정해도 접속 안될 때 iptables를 이용해서 포트번호를 설정했다. 저는 이번에 AWS 프리티어가 종료되면서 AWS EC2 서버를 Ubuntu에서 Amazon-Linux2023으로 이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새롭게 https를 적용 중인데요. 그런데 http로는 접속이 되는데 https로는 접속이 안되고 있는 상황에 빠져버렸습니다.그래서 일단 아래처럼 방화벽도 확인했습니다.sudo iptables -L -n -v 위 사진을 보면 8080포트와 443 포트가 ACCEPT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그런데 8080 포트(http)는 접속이 되는데 443 포트(https)는 접속이 계속 안되었습니다.그래서 당연히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어떤 삽질을 해도 접속이 되지 않았습니다...

IT/AWS 2024.10.31

AWS EC2 MySQL 설치 (Amazon-Linux2023)

기존에 사용하던 AWS의 프리티어가 종료되면서 새롭게 인스턴스를 생성했습니다.기존에는 Ubuntu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amazon-linux로 설치를 해봤습니다. amazon-linux가 AWS에서 사용하는데 더 이점이 많다고 하더라구요. 하지만 큰 차이는 없는거 같습니다. ​대학교 때 CentOs 보다는 Ubuntu를 좀 더 중점적으로 해서 더 익숙해서 ubuntu를 했지만 좀 더 좋다고 하는 amazon-linux를 사용해보겠습니다. 느껴지는 두개의 큰 차이점은 명령어가 다르다는 점이네요 ㅎㅎ​그럼 아래에 amazon-linux 환경에서의 MySQL 설치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Amazon Linux 패키지 업데이트sudo dnf update -y​2. MySQL yum repository..

IT/AWS 2024.10.24

AWS DB 덤프하는법 테이블, 데이터 추출하기

AWS DB 덤프하는법 테이블, 데이터 추출하기 이번에 프리티어 종료되면서 새로운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RDS도 새로 생성했습니다. 그러면서 기존에 있던 DB 자료를 가져와야 하는데 저는 생각나는 방법이 테이블 CREATE문 만들기와 데이터 INERTS문 만들기가 생각났습니다.​Docker Compose를 만들어서 DB도 이미지를 빌드 하면 될 거 같은 생각은 드는데 다음에 해보려고 합니다.​그래서 AWS에서 mysqldump를 이용해서 테이블 구조와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모든 테이블 구조 덤프mysqldump -h [RDS-Endpoint] -u [사용자명] -p --no-data [DB명] > create_tables.sql  ​2. 모든 데이터 덤프mysqldump..

IT/AWS 2024.10.20

AWS 서버 중단 시 커스텀 화면 보여주기

AWS 서버 중단 시 커스텀 화면 보여주기 서버를 내렸다가 재기동 하다보면 502에러가 발생해서 사용자가 어떤 에러인지 짐작할 수 없다고 판단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커스텀한 화면을 보여주려고 합니다. 아래에 그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저는 AWS EC2(Ubuntu), Docker 환경에서 진행하고있습니다.저는 Nginx를 사용하고 있고 이미 설치가 되어있습니다.설치부터 하셔야하는 분들은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nginx​1. Nginx 환경설정이후 Nginx 설정 파일을 수정하면 됩니다.cd /etc/nginx/conf.dsudo vi default.conf ​2. Dockerfile 수정Dockerfile에서 html파일에 접근..

IT/AWS 2024.10.18

AWS EC2 Docker 용량

AWS EC2 Docker 용량 이번에 젠킨스,도커로 배포 자동화를 하게 되면서, 깃허브에 푸시하면 도커가 기존에 존재하는 컨테이너와 이미지를 삭제하고 새로운 컨테이너와 이미지를 생성하게 만들어놨습니다.그런데 푸시를 하면 할수록 메모리의 용량이 너무 빠르게 늘어나는 바람에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용량을 확인해 봤습니다. 현재 사용 중인 용량은 16GB     다음으로 저 16GB가 어디에서 사용되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명령어로 확인하는 방법도 있지만 UI를 조금 더 쉽게 보기 위하여 ncdu를 설치해 보았습니다.//설치sudo apt-get install ncdu// 용량 보기ncdu /   그런데 확인해 보면 아래 합쳐도 8GB 정도밖에 안됩니다.     뭔가 도커의 문제인 거 같은데 알..

IT/AWS 2024.10.10

AWS EC2 Potainer 설치

AWS EC2 Potainer 설치 AWS EC2(Ubuntu) 환경에서 Jenkins와 Docker를 사용해서 배포 자동화를 진행했었는데요. 이번에는 Docker 를 조금 더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Potainer라는 것을 설치하고 사용해보려고합니다. 아래에 그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Portainer란?Docker 및 Kubernetes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주로 개발자나 시스템 관리자들이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더 쉽게 관리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Portainer설치하는 방법​아래 공식 문서에 설치하는 방법이 나와있습니다.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바로 해보겠습니다.https://docs.portaine..

IT/CI_CD 2024.10.01

AWS EC2 젠킨스, 도커로 배포 자동화하기

AWS EC2 젠킨스, 도커로 배포 자동화하기  이번에 취업한 회사는 Jenkins와 Docker를 이용하여 배포 자동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습니다. 젠킨스는 첫 회사에서 사용해 보았지만 이미 구축된 시스템에 빌드 및 배포를 하고 에러 발생 시 에러 잡아주곤 했었습니다. 개인 프로젝트에 젠킨스와 도커를 도입하면서 어떻게 동작하는 건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에 배포 자동화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번에는 깔끔한 정리보다는 중간에 에러 나는 것도 다 집어넣었습니다.​AWS - EC2 환경에서 젠킨스 및 도커를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에 정리해놨습니다.https://jindduya.tistory.com/92 AWS EC2 ubuntu 젠킨스 설치AWS EC2 ubuntu 젠킨스 설치 개..

IT/CI_CD 2024.09.27

AWS Docker 설치

AWS Docker 설치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 EC2에 도커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젠킨스를 설치했기 때문에 도커도 설치가 된다면 다음 포스팅에서는 배포자동화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커 공식 사이트에 접속합니다.https://docs.docker.com/engine/install/ubuntu/ 문서에서 하라는 대로 하면 됩니다. 1. Docker 저장소 설정# Add Docker's official GPG key:sudo apt-get updatesudo apt-get install ca-certificates curlsudo install -m 0755 -d /etc/apt/keyringssudo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

IT/AWS 2024.09.24

AWS EC2 ubuntu 젠킨스 설치

AWS EC2 ubuntu 젠킨스 설치 개인 프로젝트에서 AWS EC2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취직해서 개인 프로젝트에 조금 뜸해졌는데 드디어 젠킨스와 도커를 도입하려고 합니다. ㅎㅎ 먼저 AWS에 젠킨스 설치부터 정리해 보겠습니다.  젠킨스 다운로드 사이트에 접속합니다.https://www.jenkins.io/ 다운로드 클릭합니다. 저는 Ubuntu 사용하고 있기에 Ubuntu를 클릭했습니다.본인 환경에 맞는 것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래에 적힌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합니다. sudo wget -O /usr/share/keyrings/jenkins-keyring.asc \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jenkins.io-2023.key echo "deb..

IT/CI_CD 2024.09.23

AWS EC2 디스크 용량 늘리기 (EBS 볼륨)

AWS EC2 디스크 용량 늘리기 (EBS 볼륨) 저는 AWS EC2 인스턴스(ubuntu)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프리티어를 이용하다 보니까 하드디스크 용량이 매우 작은데요. 8GB밖에 되지 않아 용량이 금방 다 차버렸습니다. 다른 분이 프리티어인데 본인은 20GB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여 알아보았는데요. EBS 볼륨 크기를 변경하여 30GB로 늘려보았습니다. 아래에 그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df -Th 명령어를 입력하면 디스크 공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WS - EC2 메뉴로 갑니다. 좌측 Elastic Block Store - 볼륨 메뉴를 눌러보면 현재 8GB를 이용하고 있는데, 볼륨 ID를 클릭합니다.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기존에 8GB로 되어있던 것을 30GB로 설정하고 수정을 클릭합..

카테고리 없음 2024.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