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3

동적계획법 (Dynamic Programing) 알고리즘

동적계획법 (Dynamic Programing) 알고리즘 - DP 동적계획법 (Dynamic Programing) 알고리즘 - DP 복잡한 문제를 여러 개의 간단한 문제로 분리하여 부분의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복잡한 문제의 답을 구하는 방법 메모제이션 기법 모든 작은 문제들은 한번만 계산해 DP 테이블에 저장하여 추후 재사용할 때는 이 DP테이블을 이용한다. 동적계획법의 가장 대표적인 문제 -> 피보나치 수열 피보나치 수는 F(0) = 0, F(1) = 1일 때, 1 이상의 n에 대하여 F(n) = F(n-1) + F(n-2) 가 적용되는 수 입니다. 예를들어 F(2) = F(0) + F(1) = 0 + 1 = 1 F(3) = F(1) + F(2) = 1 + 1 = 2 F(4) = F(2) +..

IT/알고리즘 2024.03.31

버블 정렬 알고리즘

버블 정렬 알고리즘 버블 정렬 데이터의 인접 요소끼리 비교하고, swap 연산을 수행하며 정렬하는 방식 정렬 전 배열 [42, 32, 24, 60, 15] 정렬 후 배열 [15, 24, 32, 42, 60] 아래 예시는 오름차순으로 배열을 정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버블정렬과정 비교 연산이 필요한 루프 범위를 설정한다. 인접한 데이터 값을 비교한다. swap 조건에 부합하면 swap 연산을 수행한다. 루프 범위가 끝날 때까지 2~3번을 반복한다. 정렬 영역을 설정한다. 다음 루프를 실행할 때는 이 영역을 제외한다. 비교대상이 없을 때까지 1~5번을 반복한다. ※ 근데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함수가 따로있다. Arrays.sort()를 활용하면 자동으로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만들어준다..

IT/알고리즘 2024.03.31

정렬 알고리즘

정렬 알고리즘 정렬 알고리즘에는 6가지의 알고리즘이 있다. 1. 버블 정렬 데이터의 인접 요소끼리 비교하고, swap 연산을 수행하며 정렬하는 방식 2. 선택 정렬 대상에서 가장 크거나 작은 데이터를 찾아가 선택을 반복하면서 정렬하는 방식 3. 삽입 정렬 대상을 선택해 정렬된 영역에서 선택 데이터의 적절한 위치를 찾아 삽입하면서 정렬하는 방식 4. 퀵 정렬 pivot 값을 선정해 해당 값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식 5. 병합 정렬 이미 정렬된 부분 집합들을 효율적으로 병합해 전체를 정렬하는 방식 6. 기수 정렬 데이터의 자릿수를 바탕으로 비교해 데이터를 정렬하는 방식 다음 포스팅에 각 알고리즘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IT/알고리즘 2024.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