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4 addr show # 유선 인터페이스명 확인 (예: enp2s0)
ip link show enp2s0 | grep link/ether # ← 이 값이 유선 MAC (예: a4:bf:01:23:45:67)
공유기에서 고정 IP 설정 (DHCP 예약)
이번에 서버로 사용하기로 한 미니 PC를 설정하다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작업하는 PC에서 서버용 미니 PC로 ssh로 접속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접속이 안되더라구요.
알고 보니 서버용 미니 PC의 IP가 바뀐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그럼 왜 바뀌었을까?
인터넷이 들어오는 공유기의 전원을 껐다 킨 적이 있었는데, 공유기가 껐다 켜지면서 IP가 바뀐다고 하더라구요.
바뀌는 이유는?
DHCP(공유기)가 기기들에게 사설 IP를 임대하는데, 공유기가 재부팅되면 임대 목록이 리셋
임대 목록(IP)가 RAM에 저장되어 전원을 끄면 사라짐 (휘발성)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공유기가 PC, 휴대폰 등 기기들에게 자동으로 사설 IP 주소를 설정하는 것.
사설 IP (Private IP)
- 집/회사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쓰는 주소
- 10.~
- 172.~
- 192.~
공인 IP (Public IP)
- 인터넷 전체에서 고유하게 보이는 주소
- 통신사가 모뎀/공유기 쪽에 하나 할당해 줌
- 외부에서 보면 네트워크의 '대표 번호' 같은 것
ex)[미니PC 192.168.0.50], [노트북 192.168.0.23], [폰 192.168.0.12]
위 서로 다른 사설 IP를 가진 3개의 기기가 외부 인터넷으로 나갈 땐 하나의 공인 IP로 뻗어 나감
[공유기 = 공인 IP 1.2.3.4]
아래에는 PC에 고정 IP를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공유기에서 PC에 고정 IP 설정 (DHCP 예약)
1. MAC 주소 확인
- 고정 IP를 할당할 서버용 미니 PC에서 아래 명령어로 MAC 주소 확인
ip -4 addr show # 유선 인터페이스명 확인 (예: enp2s0) ip link show enp2s0 | grep link/ether # ← 이 값이 유선 MAC (예: a4:bf:01:23:45:67)

2. 공유기 설정
- cmd 열기

- ipconfig 입력 후 Enter

- ipconfig 입력 후 Enter
- 아래 공유기 이미지 클릭

- 공유기에 붙어있는 패스워드 입력

-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 상태 정보 - DHCP 할당 정보 메뉴로 이동

- DHCP 고정 할당 탭
- 서버용 미니 PC의 MAC 주소 입력 후 IP 주소 할당 후 추가

- 설정 적용 클릭

- 이제 공유기가 꺼져도 고정 IP가 할당되어 바뀔 일이 없네요~
'IT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공유기 포트포워딩 완전 정복: 80/443로 웹서버 열기 (0) | 2025.09.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