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정보/AI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Codex 사용법 정리

binary? 2025. 6. 18. 20:26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Codex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최근에 OpenAI에서 개발했다고 하는데요. 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최신 AI 기술이라고 해서 저도 한 번 써보려고 합니다. 제가 개인 프로젝트로 만들고 있는 레파지토리를 등록해 보고 Codex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아래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ChatGPT plus 사용자 이상부터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Codex란 무엇인가?

  • Codex는 OpenAI에서 제공하는 개발자 전용 코드 에이전트 기능이다.
  • Codex는 깃허브(GitHub) 저장소 전체를 분석해서 코드 변경 제안, PR(Pull Request) 생성, 코드 리팩토링까지 해준다.

  • 간단히 말하면

  • "내 깃허브 프로젝트를 읽고, 내가 말한 대로 자동으로 코드 수정하거나 기능을 추가해 주는 인공지능 개발자"라고 보면 된다.

Codex의 대표 기능

  • ✅ GitHub 저장소 연결 및 구조 분석
  • ✅ 코드 리팩토링 제안
  • ✅ 자동 PR 생성
  • ✅ 새로운 파일 추가 또는 기존 파일 수정
  • ✅ 커밋 메시지 자동 작성
  • ✅ 함수 설명, 문서화 작업 자동화

1. Codex 사용법

  • ChatGPT에 접속하면 좌측에 Codex를 클릭

  • 시작하기 클릭

  • GitHub에 연결 클릭

2. GitHub 계정 연동

  • 시작하기 클릭

  • Authorize ChatGPT Connector 클릭
 

  • 모든 레파지토리와 선택한 레파지토리..
  • 아직은 얘를 못믿겠어서 레파지토리를 선택했습니다.
  • Install & Authroize 클릭

  • 레파지토리를 6개 넣었는데 하나만 선택 가능하네요......??? ㅋㅋ
  • 전체를 넣었어야 했나.. 일단 그냥 진행.. [환경 만들기] 클릭
  • 에이전트 인터넷 연결은 안 해도 웬만한 기능 다 돌아가는 듯

  • 기본으로 다 체크되어 있어서 전부 체크 후 [작업 시작 개]??? 클릭 ㅋ_ㅋ

3. 저장소 분석 시작

  • 오 뭔가 자동으로 제 레파지토리를 읽고 있는 모습이 나오네요.

4. 명령어 입력

  • 저는 2개의 명령을 해봤습니다.
  • 첫 번째로 프로젝트 설명 프롬프트 입력
  • 질문하기 클릭

  • 작업시간이 걸리는데 완료된 거 같아 아래 클릭해 봤습니다.
 

  • 2분 4초 동안 작업했다고 하네요.
  • 구조, 기능, 개선점, 제안 이런 식으로 나오네요.
  • 여기까지는 크게 GPT한테 코드 보여주고 설명해 달라는 것과 별 차이가 없네요.

5. 코딩 및 Pull Request

  • 이번엔 코딩을 해보라 했습니다.
  • css를 수정 프롬프트 입력 후
  • [코딩] 버튼 클릭

  • 다 됐길래 들어가 보니 우아아아아아아 ㅋㅋㅋ
  • 깃허브에서 보던 화면과 동일하네요.
  • 코드도 자동으로 작성해주구요.
  • 일단 Pull Request 생성해 봤습니다.

  • Pull Request 이후에 요청 보기를 클릭

  • 제 깃허브가 나오면서 Codex가 만든 코드가 Pull Request 목록에 나와있습니다.

  • 우와아아아...
  • Pull Request 하는 모습에 감탄...
  • 완벽하지 않더라도 획기적이네요.

Codex는 Copliot과는 다르게 코드 작성을 넘어서 저장소를 읽고 분석하고 컨트롤하는 능력이 있네요. 거기에 뭐 말하는 대로 다 해주기도 하고..

음 근데 사실 이렇게 Codex 사용하기보다는 차라리 Copliot이나 GPT에게 필요한 코드 보여주고 수정해달라고 하는 것이 더 빠르고 간결한거 같네요. 아직까지는..?

실무에서도 사용하기에는 보안이나 여러 가지 문제가 많긴 하겠지만, 저처럼 사이드 프로젝트에 최적화할 수 있는 기능이지 않나 싶네요.

먼 미래에는 개발자도 일자리가 줄어들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지는 개발자가 조금 더 편하게 개발하고 개발 시간을 단축하는 그런 유용한 툴이지 않나 싶네요.

마지막으로 Pull Request를 하지는 않았지만 수정한 css 적용만 해봤습니다. ㅋㅋㅋㅋ

프롬프트가 너무 약했나.. 맘에 안 드네요.. ㅋ_ㅋ

 

개인적으로는 전체 레파지토리를 한 번에 통제하는 것을 해봐야겠네요.

간단하게 Codex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정리를 너무 못한 글이지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직 정리할게 너무나도 많지만, 제 사이트 구경 한 번 해보세요~

감사합니다~

https://binaryworld.kr/

728x90

'유익한정보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AI로 영상 만들기 - KLING  (0) 2024.11.24
OpenAI GPT API 사용법 및 결제  (9) 2024.11.10